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7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6692314 읽기 좋은 코드가 좋은 코드다 이 책은 매우 읽기 편한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 아이디어는 `코드는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코드를 다른 사람이 읽고 이해할 때 걸리는 시간을 최소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다고 어려운 기법을 장황히 설명하지 않는다. 실전적인 간단한 기법만으로도 코드를 훨씬 읽기 편하게 만들 수 있게 이끌어준다.이 책은... www.yes24.com 좋은 코드는 엔지니어의 숙제다. 프로젝트가 시작되면 큰 규모로 다양한 사람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그래서 개발자는 협업을 위해 좋은 코드를 작성하고 코드의 가독성(readability)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 2019. 10. 25.
GDG DevFest Seoul 2019 후기! DevFest는 매년 GDG에서 개최하는 개발과 연관된 직군 모두가 참여하여 즐기는 축제입니다. 전 세계 191개국에서 DevFest이 열리고 있고, 한국에서도 최소 14번의 DevFest이 열리고 있습니다. 저는 세종대학교 지하 2층 광개토관에서 열린 DevFest Seoul에 다녀왔습니다. 이번 발표회에서 저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클린코드, 토이프로젝트 세션에 참가했는데요. 먼저, 함수형 프로그램에 대해 소감을 나눠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의 미래, 함수형 프로그래밍 (이기창)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프로그램을 수학적 함수로 보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수학적 함수란, 랜덤 함수와 상태 변경를 배제한 함수를 말합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같은 기존의 패러다임의 문제는 다른 코드의 동작에 영향을 주기.. 2019. 10. 20.
Blocking, Non Blocking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9. 10. 12.
글쓰기 스터디 시작 온라인 글쓰기 스터디를 시작했다. 스터디를 시작한 이유는 글쓰기는 습관이기 때문이다. 스터디를 하면 강제적인 규칙이 생기기 때문에, 미루는 습관을 줄일 수 있다(사실 스터디 보증금 제도가 있다, $은 좋은 동기다) 요즘 블로그를 열심히 쓰고있다. 생각정리, 공부정리에 좋다. 지금같은 페이스면 글은 안밀릴것같다. 무엇보다 스터디 리더가 글을 리뷰해준다는게 장점이다. 글쓰기 스터디라고해도, 주제가 기술쪽이기 때문에 나는 지식 전달에 무게를 더 두고 있다. 피드백을 받고 블로그의 좀 더 양질의 컨텐츠를 더 늘려갈 예정이다. 2019.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