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31 씹뜯맛 Node.js with REST&GraphQL - FINAL 과제 회고 이번주에 한 것 NodeJS 백엔드를 주어진 요구사항에 맞추어 기능 개발하기를 진행하였습니다. 온라인 과제 채용과정과 동일하게 온라인 개발 환경에서 미션을 진행했습니다. TDD 사이클 단위로 커밋을 진행하며 개발했습니다. 느낀점 실제 채용과정처럼 제한 시간을 두고 개발하는것이 굉장히 신선했습니다. 평소 vscode로 개발을 하고있는데 개발 환경이 익숙하고 좋았습니다. 제한시간을 두고 개발을 하니 주기적으로 시간체크와 요구사항을 점검하게 되었습니다. TDD를 통해 좀더 안정적으로 개발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Mocking을 좀더 적극적으로 이용했어야했는데 그렇게 하지못한게 조금 아쉽습니다. 배운 것 Jest와 Super Test를 알아보고 적용하면서 TDD 사이클에 익숙하게 되었습니다. Rest A.. 2020. 10. 8. 씹뜯맛 Node.js with REST&GraphQL - 4주차 회고 이번주에 한 것 Graphql의 설정을 해보고 서버에서 graphql 스키마를 작성해보았습니다. 느낀 점 평소에 궁금했던 graphql 실습을 해봐서 좋았습니다. 생각보다 고려야해야할것이 많았습니다. graphql 자료를 구하기가 쉽지않았습니다. youtube와 stackoverflow같은 외국자료를 많이 찾아보았습니다. 배운 것 graphql 설정과 Apollo Server 설정. 스키마를 먼저 정의하고 그에 따라 개발하는 방식도 개인 스터디를 통해 배웠습니다. 기본 기능뿐 아니라 커스텀 타입 지정을 통해 타입의 부족한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앞으로 할 것 남은 미션과 파이널 테스트에 잘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토이프로젝트에 graphql 적용해보기 2020. 9. 29. 씹뜯맛 Node.js with REST&GraphQL - 3주차 회고 무엇을 배웠는가? 3주차에는 Mongodb를 배웠다. mongodb의 사용법을 배우고 api와 연동하는 법을 학습했다. 스터디 3주차 과제 - 기존에 만들어진 게시판 기능에 DB를 연동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게 미션이다. 좋았던점 - connection 처리를 어떻게하는지 좀더 좋은 코드를 익혔다. - 평소에 잘 안쓰던 몽고디비를 사용했다. 부족했던점 - 클라이언트에서 계속 호출을 하는데 어떤 콜을 해서 에러났는지 체크하고 싶었는데 그게 쉽지않았다. - 스펙대로 구현하기가 쉽지않았다. document 한개, 두개는 이해할만했지만 Mutation으로 계속 Document 조회하고 조작하는게 쉽지않았다. 익숙하지않다지만 사용자가 만족할 서비스를 커스텀하는게 역시 보통일이 아니다. - 코드리뷰에서 콜백처리의 지.. 2020. 9. 22. Mongoose - current URL string parser is deprecated mongoose.connect(URL); Mongoose로 DB 커넥션을 하고, 콘솔창을 보면 DeprecationWarning: current URL string parser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a future version. To use the new parser, pass option { useNewUrlParser: true } to MongoClient.connect. (node:45041) DeprecationWarning: current Server Discovery and Monitoring engine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a future version. To use the new Server .. 2020. 9. 19.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108 다음